반월상연골판파열이란?
반월상연골판의 기능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원인
비접촉성 손상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보다는 갑작스런 방향전환, 급정지, 미끄러지는 등 비접촉성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급작스런 동작을 할 때 뼈 사이에 연골판이 끼이며 파열됩니다.
스포츠 손상
운동량이 많은 젊은층의 경우 농구나 축구 등 과격한 운동으로 인한 스포츠 손상 또한 원인이 됩니다.
퇴행성변화
4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까지는 퇴행성 변화가 원인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가 늙듯이 연골판에도 퇴행이 일어나 찢어지게 되어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무릎을 많이 구부리는 일을 하는 중년층의 가정주부에서 많이 발생하고, 이 때는 내측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증상
다음과 같은 증상일 경우 반월상연골판 파열을 의심 해보셔야 합니다.
반월상 연골판 손상은 20대에서 40대 사이에서 흔하며 남자의 경우 여성보다 2.5배에서 4배정도 더 많이 발생을 합니다.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면 관절면의 동통 및 압통, 잠김현상, 무력감 등을 호소하고, 슬관절의 근력약화와 부종 등이 발생합니다.
흔히 환자들은 계단이나 평지를 걷다가 갑자기 다리에 힘이 풀리거나 ‘찌릿’한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바른병원의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치료방법
반월상 연골파열의 모양 및 위치에 따라서
관절내시경 수술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수술적 치료 :
관절내시경 수술
관절질환이 의심되는 부위에 0.5cm 정도의 작은 구멍을 낸
다음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관절경을 삽입한 후 모니터를 통해
관절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수술로 관절 내 연골의 손상과
염증, 인대손상등을 확인하고 치료
연골판 봉합술
연골판 절제술